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 윤남못

이미지
  신엄리 윤남못 생태계서비스 살펴보기  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 윤남못   ( 사 ) 제주생태관광협회 대표 고제량     제주도 생태적 가치 제주는 화산섬이다 . 180 만년전부터 2 만 5 천년전까지 수 없는 화산활동으로 섬 하나가 우뚝 쌓였다 . 초기에는 수성화산 활동에 의하여 가늘고 세밀한 화산재가 쌓이기 시작했고 , 중기 이후에는 육상 화산활동으로 현무암에서부터 화산 송이 ( 스코리아 ) 까지 다양한 화산쇄설물로 다채로운 제주 자연환경이 형성되었다 . 한라산 , 오름 , 곶자왈 , 습지 , 용암동굴 , 해변 , 하천 , 뱅듸 등으로 제주 자연생태를 구분하여 그 특성과 가치들을 살펴보면 한반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고 독특하다 .  화산활동으로 이루어진 지질적 특성과 바람과 더불어 정착한 생물들의 모습은 기기묘묘하고 신비롭다 . 그 가치들로 인해 유네스코는 제주도를 생물권보전지역 (2002 년 ), 세계자연유산 (2007 년 ), 세계지질공원 (2010 년 ) 으로 인증했고 , 람사르협약은 람사르습지 5 곳과 람사르습지도시 2 개 지역을 인증했다.   이 정도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제주 자연은 보편 탁월한 가치를 인정받아 마땅하다 .   제주 습지 제주의 습지는 화산활동의 흔적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. 람사르협약에 등재된 5 곳의 람사르습지는 오름 분화구에 습지가 형성된다거나 점도가 낮은 파호이호이 용암이 흐른 들판에 용암판 ( 빌레 ) 이 물그릇 역할을 하며 습지를 만들기도 한다 . 그리고 곶자왈에도 파호이호이 용암이 흐른 곳에는 용암판이 기저에 깔리면서 습지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. 이런 특별함으로 볼 때 제주도 습지는 형성 원인을 반영하여 오름습지 , 곶자왈습지 , 뱅듸습지라고 제주만의 이름을 지어주면 어떨까 ?. 제주특별자치도가 기록한 습지 목록은 내륙습지 322 개 , 연안습지 21 개이다 . 내륙습지는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시작으로 한라...

성산읍 습지의 사계절과 습지 조사의 의미

이미지
성산읍 습지의 사계절과 습지 조사의 의미 2024. 12. 27 (금) 글 _ 습지블로그 서포터즈 오은주 사진 _ 성산읍습지조사 팀     1. 수산한못의 사계절 수산한못은 전주물꼬리풀 복원지로 보호하는 습지다 . 2 차에 걸쳐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고 ,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많이 알려져서 여행자들의 발길이 많은 곳이다 . 습지 가까이 접근도 쉽고 습지 식물도 자세히 관찰 할 수 있어서 수산초등학교 친구들과도 여러 번 방문하여 습지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. 식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계절마다 다양한 꽃이 피기 때문에 경관도 뛰어난 습지이다 . 가끔은 새들도 관찰되기도 한다 . 백로 종류와 알락오리 , 왜가리가 종종 보이기도 한다 . 2. 통한못의 사계절 수산 한못에서 300 미터 정도 좁은 농로길을 걸어서 올라가면 나오는 습지이다 . 이탄습지의 전형을 보여주는데 , 잘못하면 빠져서 발을 빼기가 어렵기도 한다 . 계절에 따라 아주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데 , 습지의 수위도 변화가 심하여 물이 꽉 차 있어 못 들어 갔는데 , 다음날은 다 빠져서 쉽게 접근이 쉬워진다 . 이 습지의 걱정은 연꽃이 꽉 차 버리고 있는 것이다 . 다른 습지 식물이 밀려나서 다양성을 해치고 있다 . 그렇지만 사람의 왕래가 적어서 새들에게는 휴식처가 되는 습지이다 .   3. 돌리미못의 사계절 돌리미못은 나지막한 돌리미오름 옆의 습지이다 . 도로에서 밑으로 쑥 내려가면 빌레가 넓게 펼쳐져 있고 , 주위에는 풍력발전기가 돌아가고 있다 . 송이고랭이가 우점해 있고 , 많지 않은 개체의 전주물꼬리풀도 보인다 .  주위에는 나무들이 둘러싸여 있어서 아늑하게 느껴지는 습지이다 . 4. 폭남못의 사계절 팽나무가 입구에 있어서 폭남못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습지이다 . 길가에서는 피어있는 수련을 구경하기는 괜찮다 . 그렇지만 습지 안으로 가서 조사하려면 가시...